2024년 7월 JLPT N1의 문자어휘 파트는 예년에 비해 조금 난이도가 높았다고 생각합니다.
粘膜(ねんまく, 점막), 誓約書(せいやくしょ, 서약서), 根底(こんてい, 근저, 바탕), 交錯(こうさく, 교착, 뒤섞임), 難航(なんこう, 난항), 補填(ほてん. 보전, 손실을 메움)과 같은 어휘들은 생소한 느낌이 들었을 것입니다. 특히, 足手まとい(あしてまとい, 부담: 손과 발에 무언가가 휘감긴 상태)와 같은 표현은 관용구 표현으로 짧은 문장에서는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같은 문제의 보기 중, 及び腰(およびごし, 엉거주춤한 상태: 자신이 없어서 주저하는 모습) 역시 관용구에 가까운 표현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한 두개의 문제를 풀기 위해, 관용구에 도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학습부담이 지나치게 커집니다.
“ コンスタントな: 정기적인, 규칙적인”는, 품사로는 な형용사에 속한다고 볼 수 있지만, 카타카나로 표기하기 때문에, 이 파트에 넣었습니다.
*부사
がやがや:눈에 띄게,두드러지게,
ずばり: 정확하게, 거침없이
부사는 문자어휘의 꽃(사실은 골칫거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최근에는 출제 비중이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がやがや’와 같이 ‘의성어, 의태어’처럼 발음이 반복되는 단어는 비슷한 것이 많아서 몹시 혼란스럽습니다. 다른 어떤 품사보다도 문장으로 기억하기를 권합니다. ‘がやがや’라면, 이번에 출제된 문장처럼 ‘がやがや騒わがしい”처럼 기억해 두면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