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 한자 읽기 - 숙자훈의 포인트 정리
고득점 합격의 확신 - 김성곤의 JLPT
한자문제 풀이 능력을 높여주는 또 하나의 비법. 뭘까?
일단 문제부터 풀고나서, 그 후에 심오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풀어보도록 하겠다.
*****
芝生に「立ち入り禁止」と書いてあった。
1 しばい
2 しばふ
3 しまい
4 しばなま
정답: 2
해석: 잔디에 “출입금지”라고 쓰여져 있었다.
단어: 芝生(しばふ) 잔디, 立(た)ち入(い)り禁止(きんし) 출입금지
포인트: 芝生는 음독이나 훈독과 관계없이 특별하게 읽는 단어이다. 잔디는 「しばふ」라고 읽는다.
*****
이 문제에서 키포인트는, 일반적이지 않은 특별한 한자읽는 법을 알고 있는가라는 점이다. 그럼 지금부터 차분하게 and 꼼꼼하게 따져보겠다.
2자 이상인 한자를 읽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기본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음독'이니 '혼독'이니 하는 말이 등장하는 데, 음독은 한자를 중국 원음(정확하게는 옛날 한자가 전래된 시기의 중국 발음을 최대한 흉내낸 것)으로 읽은 것이다. 이 덕에 일본어한자를 그럴싸하게 찍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한자의 뜻을 일본어로 풀어서 읽는 것을 '훈독'이라고 한다.
좀더 진지하게 따져 보자.
1) '음'과 '음'으로 읽는 경우
教育(きょう+いく:교육), 会社(かい+しゃ:회사)의 발음처럼 모두 음독으로 읽는 경우다.
2) '훈'과 '훈'으로 읽는 경우
着物(き+もの:기모노.전통복장) 手紙(て+がみ:편지)2자 모두 훈독으로 읽는 경우가 있다.
3) '음'과 '훈'으로 읽는 경우
本屋(ほん+や:책방) 毎朝(まい+あさ:매일 아침)
앞의 한자는 '음'으로 뒤의 단어는 '훈'으로 읽어서, 결합시키고 있다.
4) '훈'과 '음'으로 읽는 경우
荷物(に+もつ) 場所(ば+しょ)
앞의 한자는 '훈'으로 뒤의 단어는 '음'으로 읽어서, 결합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문제에 등장한 「芝生」는 음독이냐? 훈독이냐? 아니면 짬뽕이냐? 정체가 궁금하다. 결론, 4가지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4484F5C1CC76A0C)
이런 단어를 숙자훈(熟字訓:じゅくじくん - 숙어화된 특별한 발음으로 한자 읽기)이라고 한다. 정확하게말하자면, 두 글자 이상의 단어 전체에 일본어의 의미를 붙여 읽는 것으로, 음독으로도 훈독으로도 추측이 불가능한 영역의 단어이다. 다행스럽게도 이미 기초 때부터 알고 있는 숙자훈도 꽤 있다.
昨日(きのう:어제), 紅葉(もみじ:단풍), 風邪(かぜ:감기), 土産(みやげ:선물), 今朝(けさ:오늘 아침), 大人(おとな:어른), 今日(きょう:오늘), 明日(あした:내일)... 등. 이제 그만해야겠다.
그러나 숙자훈은 이렇게 쉬운 단어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럼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숙자훈을 마스터하는 방법은 뭘까? 비법??? 그런 거 없다.
먹지도 않고 자지도 않고 건강해 질 수 없는 것처럼, 외우지 않고 마스터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숙자훈의 리스트를 확보한다면 어떨까? 그거라면 문제없다.
다음의 숙자훈을 기억하면 N2 레벨의 한자의 한 영역을 정복한 것이나 다름없다.
田舎 いなか 시골
為替 かわせ 외국환
芝生 しばふ 잔디
白髪 しらが 흰머리
素人 しろうと 초보자
玄人 くろうと 고수, 달인
相撲 すもう 일본씨름
足袋 たび 버선
凸凹 でこぼこ 요철, 울퉁불퉁
博士 はかせ 박사
二十歳 はたち 20세
吹雪 ふぶき 눈보라
下手 へた 서툼, 능숙하지 못함
眼鏡 めがね 안경
紅葉 もみじ 단풍
浴衣 ゆかた 유카타, 무명옷
行方 ゆくえ 행방
그럼 이상의 내용을 문제로 승화시켜보자.
*****
隊員たちは、行方不明の人の捜索を続けた。
1 いきかた
2 ゆきさき
3 こうほう
4 ゆくえ
정답: 4
해석: 대원들은 행방불명인 사람들에 대한 수색을 계속했다.
단어: 隊員(たいいん) 대원, 行方(ゆくえ) 행방, 不明(ふめい) 불명, 捜索(そうさく)수색
*****
이제는 조금만 더 ( 더, 더, 그리고 더 많이^^) 공부하면 된다. 여러분, 화이팅!